CofS

CofS

글쓰기 관리 로그아웃
로그인
  • 전체 (401)
    • 공지사항 (1)
    • 일상 (23)
    • 여행 (6)
    • 초대장 (14)
    • language (173)
      • java (28)
      • javascript (48)
      • jquery (29)
      • jsp (29)
      • html (15)
      • css (3)
      • jquery mobile (21)
    • database (24)
      • database (0)
      • oracle (24)
    • framework (32)
      • spring (14)
      • egovframework (5)
      • etc framework (6)
      • MyBatis (7)
    • tool (13)
      • eclipse (8)
      • ERwin (5)
    • mobile (50)
      • android (16)
      • ios (34)
    • OS (15)
      • Windows (1)
      • Linux (12)
      • docker (2)
    • etc (50)
      • Util (11)
      • open api (3)
      • error (25)
      • etc (11)
  • 방명록
  • 전체 글 목록

CofS

컨텐츠 검색

태그

Spring javascript 강좌 전자정부 jquery servlet 서블릿 egov Eclipse html 강좌 Oracle java jsp 제이쿼리 JavaScript html jquery mobile 오라클 전자정부프레임워크 자바스크립트 스프링

최근글

  • VIP TELNET / 같은 네트워크 대역 L4 스위치⋯
  • javascript popup post 전송 ie11
  • CommonsMultipartResolver 로 파일 ⋯
  • KVM 스위치 CS62US에서 로지텍 마우스 사용하기

댓글

  • 감사합니다 블루스크린하면 덜컥 하드웨어 자체적인 문제일거라 생각해왔었는데⋯
  • 내부망 기본게이트웨이가 ipconfig 및 ipv4에서 확인하였을 때 공⋯
  • 안녕하세요! 에바 청소 검색하다가 와보았습니다. 업체 정보 좀 알 수 있⋯
  • 안녕하세요 대전에 살고 에바크리닝 정보를 찾다가 알게 되었습니다. 좋은 ⋯

공지사항

아카이브

  • 2020/12
  • 2020/10
  • 2020/05
  • 2020/04
  • 2020/02
  • 2019/10
  • 2019/08
  • 2019/07
  • 2019/06
  • 2019/05
  • 2019/04
  • 2019/03

전체(401)

  • VIP TELNET / 같은 네트워크 대역 L4 스위치의 VIP 통신 방법

    2020.12.11
  • javascript popup post 전송 ie11

    2020.12.08
  • CommonsMultipartResolver 로 파일 최대 크기 maxUploadSize 설정 후 반응없을 때

    2020.10.08
  • KVM 스위치 CS62US에서 로지텍 마우스 사용하기

    2020.05.11
  • SSLError(1, '[SSL: CERTIFICATE_VERIFY_FAILED] certificate verify failed (_ssl.c:852)')

    2020.04.09
  • ERROR: Cannot find command 'git' - do you have 'git' installed and in your PATH?

    2020.04.07
  • cmd에서 git 사용하기 / windows 에서 github 사용하기

    2020.04.07
  • anaconda CondaHTTPError: HTTP 000 CONNECTION FAILED

    2020.04.06
  • Could not reserve enough space for object heap 해결방법

    2020.02.19
  • error occurred during initialization of vm

    2020.02.03
VIP TELNET / 같은 네트워크 대역 L4 스위치의 VIP 통신 방법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client 가 L4로 구성된 VIP로 접속 시 접속이 안되고 , VIP 의 real server로는 접속이 되는 문제에 대해서 알아보자. 아래 그림은 client인 A1 에서 VIP인 10.30.60.10 으로 접속시 접속이 안되나 , real server 인 R1 과 R2 로 telnet 접속을 하면 접속이 된다. 같은네트워크 대역(모두 10.30.60.x) 을 사용하고 있고 같은 vlan 대역인 상황이다. 왜 vip로는 접속이 안되고 real server 로는 접속이되는걸까? A1(client)에서 R1 또는 R2 로 telnet 접속시 아래 그림처럼(빨간색 화살표) 정상적으로 접속이 된다. 왜냐면, 같은 네트워크 대역이고 L2 스위치에 있기 때문에 L2 스위치 mac tab..

2020. 12. 11. 13:51
javascript popup post 전송 ie11

javascript popup post 전송 ie11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ie11은 동작하지 않는다. 1. 빈 팝업을 호출 2. 부모 창에서 form 생성 (또는 기존에 form이 있음) 3. 부모 창에서 빈 팝업으로 form submit (POST) 기존에는 위 기능이 정상동작했고 현재 크롬에서도 이상없이 동작한다. 단 ie11에서는 동작하지 않았다. 증상은 다음과 같다. 1. 빈 팝업 호출 2. 부모창에서 빈 팝업을 target 잡고 submit 시 부모창에서 submit 이 실행됨 내가 구현해야할 기능(상황)은 다음과 같았다. 시스템 별로 특정 페이지를 post 로 호출해야 함. (시스템이 여러개) 따라서 시스템마다 관리 포인트를 최소화 하고 싶음. 즉, 스크립트 몇줄만 각 시스템으로 전달해서 특..

2020. 12. 8. 18:37
CommonsMultipartResolver 로 파일 최대 크기 maxUploadSize 설정 후 반응없을 때

환경 : spring 4.3, egov 3.7, tomcat 8.5, java 8 multipartResolver 를 사용하여 파일 업로드 시 최대 크기를 설정을 했더니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났다. CommonsMultipartResolver 에 파일 최대 크기 maxUploadSize 를 500MB로 설정 후 설정한 크기보다 큰 파일을 업로드 하면 반응이 없다. 로그도 반응이 없고... 브라우저에서는 다음과 같이 나온다. ERR_CONNETION_RESET 에러에 관해서는 검색하면 많이 나오는데 간단히 설명하자면 서버에서 반응이 없어서 기다리다 지친 브라우저가 오류를 발생시킨다고 보면된다. (FIN 패킷을 못받을 경우 발생함) 이 경우는 tomcat 의 maxSwallowSize 속성을 변경하면 된다..

2020. 10. 8. 11:34
KVM 스위치 CS62US에서 로지텍 마우스 사용하기

망분리된 환경에서 KVM 스위치 사용은 자주 있는 일이다. 그런데 일부 제품들에서 로지텍 무선마우스 지원이 안되더라... 필자도 4개 제품을 사용해봤는데(다른 이유로...) 그중 2개가 로지텍 마우스가 인식이 안되더라... 물론 마우스 자체가 움직이지 않는건 아니다. 로지텍 마우스 또는 제품을 사용한다면 SetPoint 를 설치해서 일부 키 설정이나 감도 조절 등을 하게되는데 SetPoint에서 내 마우스가 잡히지 않았다... 모를땐 구글링이 답니다. 계속 검색해 보았지만 KVM 스위치 구매시 주의사항 글에 대부분 로지텍 마우스가 등장했다. 로지텍은 타 회사와는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한다나 ??? 알고싶지 않다. 진작에 봤으면 알았을 것을... 하지만 포기하지 말고 이것 저것 찾아보다가 마우스 인식 이슈를..

2020. 5. 11. 16:42
SSLError(1, '[SSL: CERTIFICATE_VERIFY_FAILED] certificate verify failed (_ssl.c:852)')

pip 명령어로 패키지를 설치하려고 하는데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한 경우 해결방법입니다. 필자와 같이 내부망, 외부망이 나누어져 있는 환경 또는 인터넷망이 일반적이지 않고 특정 망을 타고 나가는 등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오류를 심심치 않게 만날 수 있습니다. 특정 주소에 있는 파일을 다이렉트로 설치하려고 할 때 보통 발생합니다. SSLError(1, '[SSL: CERTIFICATE_VERIFY_FAILED] certificate verify failed (_ssl.c:852)') 위 오류 원인은 방화벽에서 pip 패키지 사이트들을 허용하지 않을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회사 내부의 인터넷 망일 경우 그 회사에서 사이트를 막아 두거나 방화벽 정책 등에 의해서 막혀있을 수 있고 사용하는 서버..

2020. 4. 9. 15:03
ERROR: Cannot find command 'git' - do you have 'git' installed and in your PATH?

git 명령어 사용 시 오류 해결 방법 ERROR: Cannot find command 'git' - do you have 'git' installed and in your PATH? 'git'은(는) 내부 또는 외부 명령,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배치 파일이 아닙니다. 위와 같은 오류는 git명령어를 사용할 수 없을 경우 발생한다. windows 와 linux 모두 동일하다. 각각에 맞게 git을 설치해 주면 된다. linux 계열은 yum, rpm, apt-get 등과 같은 설치 프로그램을 활용하면 쉽게 install 할 수 있다. 윈도우는 별도의 설치방법이 필요하다. 그 안내는 아래 링크를 참조하면 된다. cmd에서 git명령어 사용하기 끝

2020. 4. 7. 10:39
cmd에서 git 사용하기 / windows 에서 github 사용하기

windows의 cmd에서 git명령어를 사용해보자. 필자의 경우 windows에서 conda 가상환경을 만들고 이것저것 테스트 하다보니 다음과 같은 오류를 만나서 git을 사용해야 할 경우가 생겼다. ERROR: Cannot find command 'git' - do you have 'git' installed and in your PATH? 가장 먼저 해야할 것은 github desktop 설치이다. 아래 화면에서 github dasktop를 다운로드한다. github dasktop 다운로드 다운받은 파일을 실행함으로써 바탕화면에 바로가기가 생긴다. github dasktop 프로그램을 닫고 바탕화면의 바로가기 아이콘을 우클릭하여 파일위치 열기를 실행한다. 그상태로 다음 경로로 이동한다. \app-x..

2020. 4. 7. 10:31
anaconda CondaHTTPError: HTTP 000 CONNECTION FAILED

conda update, conda create error 해결방법 windows 10 에 anaconda 를 설치하고 conda 가상환경을 셋팅하려고 아나콘다를 설치했다. 설치 후 가상환경을 생성하기 전에 conda update conda 명령어로 conda를 업데이트 하려고 하니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했다. (base) C:\Users>conda update conda Collecting package metadata (current_repodata.json): failed CondaHTTPError: HTTP 000 CONNECTION FAILED for url Elapsed: - An HTTP error occurred when trying to retrieve this URL. HTTP err..

2020. 4. 6. 17:31
Could not reserve enough space for object heap 해결방법

eclipse에서 tomcat 을 사용하여 웹 프로젝트를 기동하는 중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했다. Error occurred during initialization of VM Could not reserve enough space for object heap Could not create the Java virtual machine 해당 오류는 JVM의 메모리 문제이다. 공식 사이트에서는 약 7가지의 진단방법을 제공하고 있으나 보통은 아래 3가지중으로 해결이 가능하다. 1. -Xmx 가 명시적으로 지정되어있는지 확인 (32 bit or 64 bit JVM) 2. -Xmx 가 너무 크게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 (32 bit JVM only) 3. 시스템의 가상 메모리가 부족한지 확인 (32 bit or 6..

2020. 2. 19. 15:26
error occurred during initialization of vm

셋팅 중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했다. Error occurred during initialization of VM The size of the object heap + VM data exceeds the maximum representable size 필자가 셋팅 중 tomcat 구동 시 메모리를 증가시켰더니 바로 발생하더라... 위 오류가 발생하는 이유는 jvm이 적절한 메모리를 할당받지 못했을때 발생한다고 합니다. XamPermsize 와 Xmx 사이즈를 조정하여 오류를 해결 할 수 있습니다. 선배님 말로는 32비트는 최대 1기가(물리적인 메모리가 4기가일 경우), 64비트는 물리적인 메모리만큼 지정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문서를 못찾았습니다 ㅠ 정확하진 않아요 ;;;;) 제가 일하는 환경에서는 6..

2020. 2. 3. 13:31
1 2 3 4 ··· 41
CofS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